2026년은 대한민국의 한부모가족에게 큰 전환점이 되는 해입니다. 여성가족부는 한부모가정의 경제적 자립과 안정적인 자녀 양육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며, 실질적인 복지 혜택을 확대했습니다.

특히 이번 예산안은 기존 복지 대상자의 기준을 넓히고, 지원 금액도 인상해 더 많은 가구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아동양육비는 물론, 법률·의료·주거 지원, 나아가 양육비 선지급제 강화까지 포함돼 한부모가정의 삶의 질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 정책은 매년 조금씩 변화하지만, 이번 개정은 특히 한부모가족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럼 2026년도 한부모가족 예산안의 주요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한부모가족 복지 예산, 얼마나 늘어났나?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6년도 한부모가족 예산안은 총 6,26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4억 원(6.0%) 증가한 규모입니다. 이 예산은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나뉩니다.

구분2025년 예산(백만 원)2026년 예산안(백만 원)증감액
한부모가족 지원561,894579,846+17,952
양육비 이행 확보 지원28,73046,178+17,448
총계590,624626,024+35,400

이처럼 예산이 확대된 배경에는 한부모가족의 증가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 필요성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양육비 이행 확보 관련 예산이 대폭 증액되었다는 점에서, 실제로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가정에 대한 국가의 개입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복지급여 확대: 더 많은 가구가 아동양육비를 받는다

2026년부터는 한부모가족 복지급여의 지원대상이 기존보다 확대됩니다. 구체적으로는,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 → 65% 이하 가구로 변경되면서 약 1만 명이 새롭게 아동양육비 수혜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정부가 매년 가구 수에 따라 산정하는 소득 수준의 기준치로, 각종 복지제도의 지원 기준이 됩니다. 이에 따라 2026년 한부모가족 지원 기준은 아래와 같이 변경됩니다.

가구원 수2025년 기준(63%)2026년 기준(65%)
2인 가구2,477,575원2,729,540원
3인 가구3,165,972원3,483,373원
4인 가구3,841,597원4,221,580원

즉, 예를 들어 월소득이 270만 원 이하인 2인 가구는 2025년까지는 혜택을 받지 못했지만, 2026년부터는 아동 1인당 월 23만 원의 아동양육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대상이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실제 현장에서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복지의 포용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도 평가받고 있습니다.

청년 한부모·조손가족도 더 큰 혜택

2026년에는 청년 한부모, 미혼모·부, 조손가족에 대한 맞춤형 지원도 강화됩니다. 특히 연령별·가족 유형별로 차등 지급되던 아동양육비가 일괄적으로 인상되며, 실질적인 지원 효과가 커졌습니다.

🔹 아동양육비 인상 (월 최대 33만 원)

대상2025년2026년
미혼모·부, 조손가족 (5세 이하)28만 원33만 원
청년 한부모 (6세~18세 미만 자녀)28만 원33만 원

이로써 청년 한부모가 만 6세 이상의 자녀를 양육할 경우에도 월 33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 아동의 연령과 관계없이 보다 안정적인 양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됩니다.

‘청년 한부모’란?
만 25세~34세 사이의 부모로, 자녀를 혼자 양육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2026년부터는 이 연령대에 속하는 부모들도 아동 1인당 최대 33만 원의 양육비를 정기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추가 아동양육비도 2배 인상

한편,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 또는 조손가정에서 양육하는 5세 이하 자녀에게 제공되던 추가 아동양육비는 기존 월 5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이로써 해당 가구는 기본 아동양육비 + 추가지원금까지 포함해 최대 월 33만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자녀를 혼자 키우는 한부모가족에게 있어 학비와 생활비는 가장 큰 부담 중 하나입니다. 이를 고려해 정부는 2026년도 예산안에서 학용품비와 생활보조금을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 초·중·고 자녀 학용품비 인상

  • 2025년: 자녀 1인당 연 9만 3천 원
  • 2026년: 자녀 1인당 연 10만 원

단순한 금액 차이 같지만, 복지 수급 가구 입장에서는 모든 자녀가 학용품비 대상이 되므로 실제 체감 지원 금액이 큽니다. 매년 신학기마다 드는 공책, 필기구, 체육복, 미술도구 등의 비용을 지원하는 셈입니다.

🔹 생활보조금도 월 2배 인상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가구를 대상으로 한 생활보조금도 기존 월 5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두 배 인상됩니다. 이 금액은 가구당 지급되며, 주로 식비, 생필품 구입, 교통비 등에 사용됩니다.

항목2025년2026년
학용품비(1인당)93,000원100,000원
생활보조금(가구당)50,000원100,000원

이러한 지원 확대는 한부모가족이 실제로 겪는 생활비 부담을 반영한 조치로, 소득 외에도 양육·교육에 필요한 간접비용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복지제도가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거지원 확대: 매입임대주택 346호로 증가

안정적인 주거환경은 아동의 성장과 학업 유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정부는 이를 반영하여 매입임대주택을 통한 한부모가족 주거지원 정책도 강화했습니다.

🔹 매입임대주택 지원 호수 확대

  • 2025년: 326호
  • 2026년: 346호로 확대

단순 공급 확대 외에도, 보증금 지원 한도도 1,100만 원에서 1,200만 원으로 상향되어 초기 입주 시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항목2025년2026년
매입임대주택 공급326호346호
보증금 한도1,100만 원1,200만 원

이 정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을 통해 시행되며, 일정 요건을 갖춘 저소득 한부모가구가 신청 가능합니다. 특히 양육 중인 자녀가 있는 가구는 우선순위 배정 대상이 되는 경우도 많아 자립을 준비하는 한부모가족에게 큰 기회가 됩니다.

이처럼 주거·생활·교육 전반에 걸친 지원 확대로, 2026년은 한부모가족의 실질적 삶의 질 개선이 기대되는 한 해가 될 것입니다.

법률·의료 지원도 강화된다

한부모가족은 자녀 양육뿐 아니라 이혼, 친권, 양육권, 양육비 청구 등 법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변호사 비용 등 법률 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려운 가정이 대다수입니다.

이에 따라 2026년부터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무료 법률구조 예산이 확대되어 보다 많은 가정이 전문적인 법률 상담과 소송대리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됩니다.

🔹 무료 법률구조 예산 증가

  • 2025년: 약 4억 9,200만 원
  • 2026년: 약 6억 3,200만 원 (1.4억 원 증액)

이 예산을 통해 연간 약 1,900건의 법률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5년 대비 약 400건 증가한 수치입니다.

지원 대상: 기준 중위소득 125% 이하 한부모가족
지원 내용: 변호사 상담, 소송 대리, 법률자문 등

🔹 의료·심리 지원도 포함

2026년 예산안에는 경계선지능인(지적장애에 해당하지 않지만 지적 발달이 평균보다 낮은 경우)에 대한 심리상담 및 진단비 예산도 새롭게 반영되었습니다. 총 300명 분량의 진단비가 책정되어, 보다 많은 한부모가족이 자녀 또는 본인의 인지 발달 문제를 조기에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양육비 선지급제, 더 강력해진 회수 체계와 지원 확대

양육비를 받아야 마땅하지만, 비양육자가 지급을 거부하거나 회피하는 사례는 여전히 빈번합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정부는 ‘양육비 선지급제’를 2025년부터 시행했고, 2026년에는 이 제도의 회수 시스템과 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합니다.

🔹 양육비 선지급제란?

양육비 채권이 있지만 상대방이 지급하지 않을 경우,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대신 지급하고 이후 채무자에게 회수하는 제도입니다. 2026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운영됩니다.

구분내용
지원 대상중위소득 150% 이하의 한부모가족, 18세 미만 자녀
지원 금액자녀 1인당 월 20만 원 (집행권원 범위 내)
지급 기간자녀가 18세가 될 때까지
회수 방식납부 고지 → 독촉 → 자진 납부 없을 시 금융재산 압류 등 강제징수

🔹 회수 시스템 강화

2026년부터는 양육비 이행 확보를 위해 양육비이행관리원의 인력을 13명 증원합니다. 이 중에는 징수 전담 인력 8명, 모니터링 인력 3명이 포함되며, 채무자의 소득·재산 조사를 보다 정교하게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선지급 신청 과정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간편인증 서비스 도입, 압류 절차의 다양화, 정보 시스템 고도화 등이 추진됩니다. 이를 위해 약 6억 원의 추가 예산이 배정되었습니다.

실시간 정보 확인은 “지원금24″에서!

정부 정책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최신 정보 확인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원금24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카카오 채널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 개인 대상 여부 실시간 조회
  • 지역별 지자체 정책 비교
  • 복지부·기재부 공식 보도 해설
  • 신청 일정 및 지급일 알림 서비스

 카카오톡에서 ‘지원금24’ 검색 후 친구추가 하세요.

- 본 콘텐츠는 이용자의 합리적인 선택과 결정을 돕기 위해 사이트가 제공하는 객관적인 금융상품 분석·컨설팅 정보입니다.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 및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보호됩니다. 본 콘텐츠는 출처 URL을 명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돈 되는 다른 글은 어떠세요?

PNFPB Install PWA using share icon

브라우저의 홈 화면에 추가를 사용하여 앱을 설치합니다. 전화/ipad 브라우저에서 브라우저의 공유 아이콘을 클릭하고 ios 장치의 홈 화면에 추가 또는 macOS의 도크에 추가를 선택합니다

Manage push notifications

notification icon
We would like to show you notifications for the latest news and updates.
notification icon
You are subscribed to notifications
notification icon
We would like to show you notifications for the latest news and updates.
notification icon
You are subscribed to notifications

회원가입 완료

환영합니다! 회원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로그인 성공

환영합니다! 로그인되었습니다.

로그아웃

성공적으로 로그아웃되었습니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마이페이지를 이용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회원 탈퇴 완료

회원 탈퇴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