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청년들에게 가장 필요한 건 바로 “경제적 기회”입니다.
고물가와 불안정한 일자리, 높은 주거비용 등 현실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청년 지원금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 8월 기준, 신청 가능한 주요 청년 지원 제도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소득 조건만 맞는다면 누구나 신청 가능한 제도부터, 지역별 맞춤 지원까지 꼼꼼히 살펴보세요.
1. 청년도약계좌 – 5년 뒤 5천만 원 만들기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붙여 5년 뒤 최대 5천만 원까지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특히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대상: 만 19~34세,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납입액: 월 최대 70만 원 (5년간)
- 수령액: 최대 약 5,000만 원 (정부지원 포함)
- 신청: https://ylaccount.kinfa.or.kr/yltInit
Tip. 중도 해지 시 지원금을 반환해야 할 수 있으니, 장기 저축 계획이 있다면 꼭 활용해보세요!
2. 경기도 결혼지원금 – 부부당 100만 원 현금 지급
경기도에서는 신혼 청년 부부에게 현금 100만 원을 지원합니다.
혼인신고 후 1년 이내, 경기도 거주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어요.
- 대상: 만 18~34세 부부, 혼인신고 후 1년 이내
- 조건: 부부 중 한 명 이상 경기도 거주 이력 필수
- 신청: https://gg24.gg.go.kr/svcreqst/selectSvcReqst.do?svc_seq=920
- 금액: 부부당 100만 원 지급 (계좌 입금)
주의!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결혼 예정자라면 꼭 챙기세요.
3.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 2년 후 580만 원 수령
매월 10만 원씩 2년간 저축하면, 경기도가 최대 340만 원의 지원금을 더해 총 580만 원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 대상: 경기도 거주 청년 근로자, 월급 270만 원 이하
- 기간: 2년
- 본인 저축액: 240만 원
- 최종 수령액: 약 580만 원
- 신청: https://account.ggwf.or.kr/main/businessGuide.do
유의사항: 중도 해지 시 지원금을 받을 수 없고, 청년 복지 포인트와 중복 불가입니다.
4. 경기도 청년 복지 포인트 – 연 120만 원
경기도 소재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청년에게 매달 10만 포인트, 연 120만 원 상당의 복지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복지몰에서 문화·여가·생필품 등 다양한 항목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대상: 경기도 거주 + 중소기업 재직 청년
- 조건: 4대 보험 가입, 3개월 이상 근속
- 신청: https://youth.jobaba.net/notice_view?noticeId=166&utm
- 포인트 사용처: 청년 복지몰
주의: 노동자 통장과 마찬가지로 중복 신청이 불가하니 선택이 필요합니다.
5. 대전 월세지원 – 월 20만 원, 최대 1년간
대전광역시에서는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월세를 지원합니다.
최대 1년간, 월 20만 원씩 총 24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주택 거주
- 소득: 중위소득 150% 이하
- 신청: https://djhousing.or.kr/bbs/content.php?co_id=DH2025001
- 유의사항: 전입신고 완료 필수, 부모와 동거 시 제외
Tip. 단독 세대주나 자립 청년일수록 우선 선정 가능성이 높습니다.
6. 부산 희망 저축계좌 – 저축하면 3배로 돌려줌
부산광역시의 저소득 청년 대상 저축 장려 정책으로,
매월 10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 최대 1,080만 원의 목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부산 거주 청년, 중위소득 100% 이하
- 납입 기간: 3년
- 지원 방식: 정부·지자체 매칭 + 이자
- 신청: https://www.busan.go.kr/depart/welpolicy010902
중요: 반드시 3년간 유지해야 하며, 중도해지 시 지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7. 청년생활안정지원사업 – 최대 200만 원과 재무 상담
실직이나 부채, 생활고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을 위해
현금 최대 200만 원 + 재무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 대상: 만 19~34세, 최근 위기상황 발생자
- 내용: 현금 지원 + 채무관리, 소비습관 교정, 재무계획 수립 상담
- 신청: 신청링크
Tip. 소극적으로 참지 말고, 먼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입니다.
청년에게 주어지는 공공정책은 “알고 신청하는 자”의 몫입니다.
2025년 8월, 지금 바로 가능한 청년 지원제도를 정리해드렸습니다.
지원 요건만 맞는다면, 5천만 원 목돈부터 월세, 복지포인트까지 모두 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실시간 정보 확인은 “지원금24″에서!
정부 정책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최신 정보 확인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원금24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카카오 채널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 개인 대상 여부 실시간 조회
- 지역별 지자체 정책 비교
- 복지부·기재부 공식 보도 해설
- 신청 일정 및 지급일 알림 서비스
카카오톡에서 ‘지원금24’ 검색 후 친구추가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