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새도약기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해요.

코로나 이후 늘어난 가계부채, 특히 장기 연체로 고통받는 분들께 희소식이 될 만한 제도가 드디어 출범했어요.
2025년 10월 1일, 금융위원회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새도약기금’ 출범식을 열고 본격적인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시작했는데요.

7년 이상 5천만 원 이하의 연체 채무를 가진 사람이라면 별도 신청 없이도 빚이 소각되거나 감면될 수 있다는 사실!
대상은 무려 113만 명에 달하고, 총 규모는 16조 4천억 원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새도약기금이 누구를 위한 제도인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신청은 어떻게 하는지 하나하나 알려드릴게요. 형평성 논란이나 도덕적 해이 이슈도 함께 짚어봅니다.

새도약기금이란?

새도약기금’은 간단히 말해 7년 이상 장기 연체된 빚을 정리해주는 공적기금입니다.
정부는 이번 기금을 통해 경제활동에 복귀할 수 없는 수준의 채무자들에게 회생 기회를 주고자 합니다.

공식 명칭: 새도약기금
출범일: 2025년 10월 1일
주관기관: 금융위원회,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운영형태: 캠코가 출자하는 상법상 주식회사

기금은 금융사들이 보유한 장기 연체 채권을 일괄 매입한 뒤, 채무자의 소득과 재산 상태에 따라 채무를 소각하거나 조정합니다.

지원 대상은 누구?

기본 조건 2가지

  1. 연체 기간이 7년 이상
  2. 연체 채권 금액이 5천만 원 이하(무담보 채권)

이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기금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대상자는 약 113만 4천 명, 연체 채권은 약 16조 4천억 원 규모로 추산되고 있어요.

주의: 생계형 재산을 제외하고 회수 가능한 재산이 없거나, 중위소득 60% 이하인 경우만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지원 내용은 채무자의 소득·재산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분류조건지원 내용
기초생활수급자 / 중증장애인심사 없이 지원채권 전액 소각
중위소득 60% 이하 & 회수 가능한 자산 없음상환능력 상실자로 분류1년 이내 채무 전액 소각
상환능력 일부 있음자산은 있으나 채무액보다 적음원금 30~80% 감면, 최대 10년 분할 상환, 이자 전액 감면
상환능력 충분함소득이 중위소득 125% 초과채권 회수, 추심 재개 가능

기존 채무조정보다 훨씬 강력해요.
신용회복위원회 조정은 원금 최대 70% 감면, 최장 8년 상환이지만, 새도약기금은 원금 최대 80% 감면, 10년 상환 + 이자 면제입니다.

신청 방법은? 별도 신청 없어도 OK!

많은 분들이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라고 궁금해하시는데요.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됩니다!

금융사가 새도약기금에 채권을 매각하면, 기금이 알아서 해당 채무자의 소득과 재산을 심사합니다.
그 후, 개별적으로 통지가 옵니다.

확인 방법

  • 새도약기금 홈페이지 🔗 newleap.or.kr에서 채무 현황 확인 가능
  • 채권 매입 여부 및 심사 진행상황도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

형평성 논란 & 도덕적 해이?

새도약기금은 등장과 동시에 형평성 문제로 비판도 받고 있어요.

“성실하게 갚은 사람은 바보인가요?”
“7년 동안 버티면 탕감, 갚으면 손해라는 구조 아닌가요?”

특히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이런 불만이 큽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높은 금리를 감수하고 채무를 성실히 상환한 사람들에 대한 보상은 없기 때문이에요.

정부의 대응책

  • 5년 이상 연체자에게도 3년간 채무조정 혜택 제공
  • 기존 채무조정 이행자에겐 5,000억 원 규모의 저리 대출 지원

정부는 형평성 문제를 의식해 이처럼 보완책을 마련했어요.

자영업자도 지원받을 수 있나?

여기서 중요한 점은 대부분의 자영업자는 연체 기간이 7년 미만이라는 점이에요.
즉, 이번 새도약기금의 직접적인 혜택을 받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5년 이상 연체자 및 기존 채무조정 이행자에게는 특례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대상지원 내용
5년 이상 연체자원금 최대 80% 감면, 10년 분할상환, 이자 전액 감면
기존 채무조정 이행자은행권 수준 저리 대출 (총 5,000억 원 규모)

금융권의 반응은?

금융사 입장에서도 이 제도는 마냥 반가운 일은 아닙니다.
채권을 평균 5% 수준으로 매각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이미 대손충당금은 쌓았지만 추가 손실 우려도 있어 일부 금융사는 부담을 호소하고 있어요.

참여 기관

  • 은행,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 여신전문금융사, 저축은행 등

정부의 최종 목표는?

정부는 새도약기금을 단순한 채무 감면 수단이 아니라, 경제활동 복귀와 사회적 선순환 구조 복원을 목표로 합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채무조정을 통해 빚의 굴레에 갇혀 있던 분들이 다시 경제 활동 주체로 복귀한다면 고용시장, 소비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내가 대상자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새도약기금 홈페이지(https://www.newleap.or.kr)에서 채권 보유 여부와 심사 진행 상황 확인 가능

Q2. 별도로 신청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금융사가 새도약기금에 채권을 매각하면 자동으로 심사 후 통보됩니다.

Q3. 외국인도 대상인가요?
아니요. 외국인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4. 유흥업 관련 채권도 포함되나요?
아닙니다. 사행성·유흥업 관련 채권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5. 상환 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면 어떻게 되나요?
추심이 재개되고, 기금이 채권을 환매하여 회수 절차에 들어갑니다.

빚 탕감, 새 출발의 기회로!

지금까지 ‘새도약기금’에 대해 상세히 알아봤습니다.
이 제도는 분명히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인 장기 연체자에게는 큰 기회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도덕적 해이나 형평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 필요한 제도예요.

중요한 건 “상환 능력이 없어서 정말로 고통받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것!
앞으로도 새도약기금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얼마나 공정하게 진행되는지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실시간 정보 확인은 “지원금24″에서!

정부 정책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최신 정보 확인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원금24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카카오 채널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 개인 대상 여부 실시간 조회
  • 지역별 지자체 정책 비교
  • 복지부·기재부 공식 보도 해설
  • 신청 일정 및 지급일 알림 서비스
- 본 콘텐츠는 이용자의 합리적인 선택과 결정을 돕기 위해 사이트가 제공하는 객관적인 금융상품 분석·컨설팅 정보입니다.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 및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보호됩니다. 본 콘텐츠는 출처 URL을 명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돈 되는 다른 글은 어떠세요?

PNFPB Install PWA using share icon

브라우저의 홈 화면에 추가를 사용하여 앱을 설치합니다. 전화/ipad 브라우저에서 브라우저의 공유 아이콘을 클릭하고 ios 장치의 홈 화면에 추가 또는 macOS의 도크에 추가를 선택합니다

Manage push notifications

notification icon
We would like to show you notifications for the latest news and updates.
notification icon
You are subscribed to notifications
notification icon
We would like to show you notifications for the latest news and updates.
notification icon
You are subscribed to notifications

회원가입 완료

환영합니다! 회원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로그인 성공

환영합니다! 로그인되었습니다.

로그아웃

성공적으로 로그아웃되었습니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마이페이지를 이용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회원 탈퇴 완료

회원 탈퇴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