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사용법부터 청년 할인, 판매처, 사용 범위까지 총정리! 2025년 새 정책 변화, 후불제 도입 여부, 충전·등록 방법까지 꼼꼼히 살펴보고 스마트한 교통생활을 시작해보세요.
사업내용
지원기관
서울특별시
신청 시작일
24.01.26(금)
신청 마감일
25.12.30(화)
지원 형태
현물(감면)
지원 방법
○ 온라인: '모바일 티머니' 앱 → 회원가입 →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
○ 현장 구매: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1호선은 서울역 ~ 청량리역)/ 9호선·우이신설선·신림선 역사 주변 편의점
- ‘기후동행카드’ 구매 → 카드 뒷면 QR코드 통해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등록 → 구매한 카드를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충전
- 실물카드 이용자는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 등록 필요(1인 1카드 원칙)
* 카드 미등록 시 환불 및 따릉이 이용 불가
○ 후불 기후동행카드 발급기관에서 카드 발급 후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가입 후 카드등록
- 카드발급기관: 신한카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하나카드
* 우리카드, 비시카드 추후 별도 출시 예정
지원대상
지원대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
대상 거주지
서울, 경기, 고양, 과천
소득 제한
없음
기타 사항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
○ 서비스 범위
- 서울지역 내 지하철 + 김포골드라인
- 고양시
· 3호선: 삼송, 원흥, 원당, 화정, 대곡, 백석, 마두, 정발산, 주엽, 대화
· 경의중앙선: 한국항공대, 강매, 행신, 능곡, 대곡, 곡산, 백마, 풍산, 일산, 탄현
· 서해선: 일산, 풍산, 백마, 곡산, 대곡, 능곡
- 과천시
· 4호선: 선바위, 경마공원, 대공원, 과천, 정부과천청사
-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 따릉이
※ 제외대상
-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 버스
지원내용
지원내용
○ 이용범위: 서울지역 지하철 + 김포골드라인, 고양시, 과천시,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 이용제외: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버스
○ 카드가격
- 일반: 62,000원(따릉이 제외), 65,000원(따릉이 포함)
- 청년(만19세~39세): 55,000원(따릉이 제외), 58,000원(따릉이 포함)
- 단기권(1~7일): 1일권(5,000원), 2일권(8,000원), 3일권(10,000권), 5일권(15,000원), 7일권(20,000원)
○ 카드종류: 모바일카드(안드로이드 휴대전화), 실물카드(iOS 기반 휴대전화, 디지털 약자)
○ 카드 사용방법: 사용개시일부터 30일간 사용 가능
- 지하철, 버스: 모바일(실물) 카드를 태그하여 승·하차
* 하차 미태그 2회 누적시 직전 승차 시간 기준, 24시간 사용정지
- 따릉이
· ‘티머니 GO’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번호 등록 시 기후동행카드 사용기간 동안 따릉이 1시간 이용권 제공
· 실물카드는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등록된 카드에 한하여 따릉이 1시간 이용권 생성 가능
접수 방법 및 상세 설명
댓글
구독
Login
0 Comments
Inline Feedbacks
모든 댓글 보기
콘텐츠 공유하기
지금 보고 있는 글: 기후동행카드 사용 방법, 청년 할인, 사용 범위, 판매처 총정리 (+2025년 대변화)
카카오톡 공유
링크 공유하기